Route53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DNS이다. 다른 도메인 등록 기관(가비아, 후이즈 등) 에 비해 가격이 비슷하거나 저렴하고, 등록 외에 부가적인 기능 제공 및 안정성, GUI를 제공해 관리가 수월하다.
일반적으로 DNS 네임서버 운영은 도메인 등록시 네임서버를 지정해준다. test.com 도메인을 등록한다면 등록대행기관 네임서버 설정으로 ns1.test.com, ns2.test.com을 등록해주는 방식이다.
반면 Route53 네임서버 운영은 Route53에서 사용할 도메인을 설정해주면 네임서버로 사용될 4개의 NS레코더가 발급되는데 이 레코드를 등록대행기관 네임서버 설정에 들어가 정보를 입력해주는 방식이다.
도메인 설정
1. 호스트 영역 생성
도메인 이름
도메인 이름에는 우리가 사용할 루트 도메인 명이 들어간다. www는 서브도메인으로 보기 때문에 제외하고 작성해준다.
호스팅 영역
퍼블릭 호스팅 영역은 일반 네임서버같이 전역으로 동작하며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은 AWS내에서만 동작한다.
2. 네임서버 설정
NS 레코드
필수 레코드로 네임서버를 통해 요청이 들어오면 ip 정보를 반환한다.
SOA 레코드
필수 레코드로 AWS에서 자동 생성해준다. 해당 DNS 서버 자체의 설정 정보를 정의 한다.
호스트 생성시에 기본적으로 NS, SOA 두타입의 레코드가 생성된다. 여기서 NS 레코드의 4가지 네임서버를 등록 대행기관 네임서버로 지정해준다. 나 같은 경우에는 카페24를 이용해 아래 사진페이지에서 네임서버를 변경해주었다. 주의해야할점이 네임서버가 .로 끝나는데 제외 하고 지정해줘야 한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건데 그것도 모르고 복사 붙여넣기 하다 변경할 수 없어서 시간 낭비했다.
3. 호스트 레코더 등록 (A레코드)
레코드 이름
라우팅시킬 도메인을 지정해주거나 빈칸으로 생성하면 루트도메인에 대한 레코드가 생성된다.
레코드 유형
DNS 레코드 유형으로 A유형은 ipv4와 매칭시킨다. 예를들어 test.com을 11.11.11.11로 매칭시켜준다.
값
라우팅시킬 대상의 ipv4 주소를 입력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별칭을 사용했기 때문에 작성해주지 않았다.
별칭
alias 별칭을 이용해 AWS의 다른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다. 사용할 도메인을 Elastic Beanstalk DNS명과 연결해주기 위해 별칭을 사용했다.
TTL
DNS에 ip주소를 저장할 시간이다.
여기까지 레코드를 생성하면 기존 Elastic Beanstalk의 DNS를 새로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해도 접속이 가능해진다.
참조
https://brunch.co.kr/@topasvga/25
[AWS]21. ROUTE53,착한가격으로 DNS관리
DNS교과서 | AWS기능중 ROUTE53이라는 DNS 네임서버 서비스에 대해 적어본다. 일반적인 도메인 등록과 AWS ROUTE 53의 DNS등록이 어떤 부분이 다른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이해를 돕기위해 일반 도
brunch.co.kr
'Network.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로컬 DNS 서버에서 wildcard 사용하기 - DNSmasq (0) | 2023.04.28 |
---|---|
[Network] 네트워크 모델(2)- TCP/IP , UDP (0) | 2023.04.18 |
[Network] 네트워크 모델(1)-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 (0) | 2023.04.18 |
[AWS]Route53으로 서브도메인 설정- 와일드카드 (0) | 2023.03.29 |
[Free Domain] 무료 도메인 사용해보기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