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도메인을 구현하기 위한 테스트 작업으로 무료 도메인을 사용하게 되었다.
무료 도메인 검색시 Freenom 사이트가 많이 나오는데 사이트가 너무 느리고 내 IP DNS를 바꿔줬음에도 이게 있을리가? 한 도메인명으로 검색해도 available한 도메인이 없어서 freedomain 사이트를 이용했다.
먼저 도메인부터 차근차근 짚어가며 알아보려고한다.
도메인이란?
인터넷 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ip라고 하는데,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다.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주소창에 220.95.233.172를 입력해보자. 굉장히 낯익은 사이트가 나오는데 이 주소는 네이버의 IP이다. 이 숫자를 기억하려고 해야한다면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메인은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그림과 같이 역트리(Inverted tree)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루트 바로 아래 단계는 1단계 도메인 혹은 최상위 도메인(TLD, Top Level Domain) 이라고 칭하며 그 다음 단계는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이라고 한다.
도메인 종류
국가도메인(ccTLD,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 | 일반도메인(gTLD, generic Top Level Domain) |
인터넷 상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 | 등록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
.kr(대한민국) .jp(일본), .cn(중국), .us(미국) - 자국어 형태도 가능 ex.) 한국(대한민국) |
.com(회사), net(네트워크 관련기관), org(비영리기관), .biz(사업) |
도메인에는 국가도메인(ccTLD,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과 일반도메인(gTLD, generic Top Level Domain)이 있다.
국가도메인은 인터넷 상에서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kr(대한민국) .jp(일본), .cn(중국), .us(미국) 등 영문으로 구성된 영문 국가도메인이 있고 ‘.한국(대한민국)’, ‘중국(중국), .러시아(러시아), .이집트(이집트)처럼 자국어 국가도메인도 있습니다.
일반도메인은 ‘.com(회사)’, ‘.net(네트워크 관련기관)’, ‘org(비영리기관)’, ‘.biz(사업)’ 등 등록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이다.
Freedomain.one
Get Free Domain Names - Register Custom Domains for Free
Dynamic DNS Dynamic IP address got you down? Link the domain name to your dynamic IP address for free and never lose your connection again Dynamic DNS »
freedomain.one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2차 도메인
freedomain은 2차 도메인을 제공한다. 사진처럼 freedomain명으로 등록하고 싶다면 freedomain(3차).work(2차).gd(국가코드최상위도메인) 형태의 주소를 제공받는다. 보이는 화면에 원하는 도메인 명을 입력하고 2차도메인을 선택하고 Check Availablity를 클릭하면 이용가능한 주소일 경우 로그인 로그아웃 페이지로 이동한다.
1년까지 무료이고 만료 한달전 무료 갱신이 가능하다. 만료 한달전 갱신을 계속 해준다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을 제공한다.
IP확인
IP for the domain에는 기본적으로 현재 접속한 기기의 공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들어간다. 검색창에 내 아이피로 확인하거나 터미널에서 nslookup myip.opendns.com. resolver1.opendns.com로 확인 가능하다.
발급받은 도메인 확인
DOMAINS에서 발급받은 도메인 확인 가능하다. ...Select a domain을 누르면 내가 발급받은 도메인들이 나오며 네임서버나 IP 수정 가능하다.
도메인을 활용해 서버 접속
보통 로컬에서 localhost:8000로 작업하지만 IP를 도메인과 연결해놨기 때문에 freedomain.work.gd:8000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Network.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로컬 DNS 서버에서 wildcard 사용하기 - DNSmasq (0) | 2023.04.28 |
---|---|
[Network] 네트워크 모델(2)- TCP/IP , UDP (0) | 2023.04.18 |
[Network] 네트워크 모델(1)-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 (0) | 2023.04.18 |
[AWS]Route53으로 서브도메인 설정- 와일드카드 (0) | 2023.03.29 |
[AWS] Route53로 DNS 관리하기(ELB 연결)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