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2)
-
[Network] 네트워크 모델(2)- TCP/IP , UDP
TCP / IP 이전 글에서 다룬 OSI 7계층은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 이론적인 모델이다. 하지만 개념적인 모델이고, 계층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등 실제 적용이 어려워 현재에는 인터넷 표준 TCP/IP 모델이 네트워크 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패킷 (Packet) 데이터 통신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이다.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에 이를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는 것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헤더는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고, 패킷의 크기, 우선순위 등의 정보,데이..
2023.04.18 -
[Free Domain] 무료 도메인 사용해보기
서브 도메인을 구현하기 위한 테스트 작업으로 무료 도메인을 사용하게 되었다. 무료 도메인 검색시 Freenom 사이트가 많이 나오는데 사이트가 너무 느리고 내 IP DNS를 바꿔줬음에도 이게 있을리가? 한 도메인명으로 검색해도 available한 도메인이 없어서 freedomain 사이트를 이용했다. 먼저 도메인부터 차근차근 짚어가며 알아보려고한다. 도메인이란? 인터넷 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ip라고 하는데,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다.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주소창에 220.95.233.172를 입력해보자. 굉장히 낯익은 사이트가 나오는데 이 주소는 네이버의 IP이다. 이 숫자를 기억하려고 해야한다면 어렵..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