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Java 메서드(Method) 와 객체화
2025. 10. 14. 19:08ㆍDev./Java
728x90
반응형
메서드(Method)
- 기능 단위로 묶인 코드 블록
- 입력(매개변수) -> 처리(작성된 로직) -> 출력(리턴값)
- 객체지향에서 객체의 행동을 정의
- 한가지 기능만 수행
- 반복되는 코드는 메서드로 분리
기본 구조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서드이름([매개변수]) {
// 수행할 코드
return 값; // 리턴 필요 시
}
public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b;
}
- 접근제어자: public, private, protected, 생략(default)
- 리턴타입: 반환값 자료형, 없으면 void
public void printHello() {
System.out.println("Hello!");
}
- 매개변수: 타입과 변수명 필수
접근 제어자 범위
public → 어디서나 접근 가능
protected → 같은 패키지 + 상속받은 클래스
default → 같은 패키지 안에서만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부에서만
메서드 오버로딩
- 같은 이름, 다른 매개변수로 여러 메서드 정의 가능
public int add(int a, int b) { ... }
public double add(double a, double b) { ... }
static 메서드
- 객체 생성(new) 없이 클래스명으로 바로 호출
- 공통 기능을 제공
- 객체 상태 접근 X, static 변수만 접근 가능
class MathUtil {
public static int square(int x) {
return x * x;
}
}
int result = MathUtil.square(5); //객체 생성 필요X
MathUtil 클래스 자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객체 없이 바로 호출 가능
객체화
객체(Object)란?
- 클래스 기반으로 생성되는 실체
- 데이터 + 기능을 하나의 단위로 묶은 것
예) Person 클래스 -> 객체 김아무개, 박아무개
객체화는 말그대로 객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 클래스를 기반으로 실제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과정
- 객체 = 데이터(속성) + 기능(메서드)
- new 키워드 사용
- 객체 마다의 독립적인 상태 존재
- 메서드는 객체의 행동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0;
void increase() { count++; }
int getCount() { return count; }
}
Counter c1 = new Counter();
c1.increase();
System.out.println(c1.getCount()); // 1
과정
- 클래스 설계 → 속성과 메서드 정의
- 객체 생성 → new 클래스명()
- 속성 초기화/설정 → 객체.속성 = 값
- 메서드 호출 → 객체.메서드()
- 객체 상태와 행동 확인
728x90
반응형
'Dev.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0) | 2025.10.15 |
|---|---|
| [Java] 타입 변환 (Array ↔ Array/List/String) (0) | 2025.10.14 |
| [Java] HashSet (0) | 2025.10.10 |
| [Java] .equals()와 ==의 차이 (0) | 2025.10.03 |
| [Java] 타입 변환 (int, double, char, String) (0)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