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프로그래머스 햄버거 만들기

2025. 11. 4. 08:38알고리즘

728x90
반응형

문제 설명

햄버거 가게에서 일을 하는 상수는 햄버거를 포장하는 일을 합니다. 함께 일을 하는 다른 직원들이 햄버거에 들어갈 재료를 조리해 주면 조리된 순서대로 상수의 앞에 아래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고, 상수는 순서에 맞게 쌓여서 완성된 햄버거를 따로 옮겨 포장을 하게 됩니다. 상수가 일하는 가게는 정해진 순서(아래서부터, 빵 – 야채 – 고기 - 빵)로 쌓인 햄버거만 포장을 합니다. 상수는 손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상수가 포장하는 동안 속 재료가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하여 재료가 높이 쌓여서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수의 앞에 쌓이는 재료의 순서가 [야채, 빵, 빵, 야채, 고기, 빵, 야채, 고기, 빵]일 때, 상수는 여섯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세 번째 재료부터 여섯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하고, 아홉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두 번째 재료와 일곱 번째 재료부터 아홉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합니다. 즉, 2개의 햄버거를 포장하게 됩니다.

상수에게 전해지는 재료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ingredient가 주어졌을 때, 상수가 포장하는 햄버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문제 요약

정해진 순서 -> 아래부터 빵-야채-고기-빵
중간 재료추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
예 [야채,빵,빵,야채,고기,빵,야채,고기,빵]
세번째 빵 부터 빵 야채 고기 여섯번째 빵 까지 -> [야채,빵,야채,고기,빵] 남음
두번째 빵 부터 빵 야채 고기 다섯번째 빵 까지 -> [야채]
2번의 햄버거 포장

Pseudo Code

빵 야채 고기 빵 -> 순서가 보장되는 리스트에 넣음 (List1)
int [] -> List  (List2)
while List2에 List1이 완전히 포함되어 있는 동안 반복
    List1,2 비교해서 일치하는 리스트 제거
    제거 되면 answer ++

제출한 코드 ( 테스트 통과, 시간 초과)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List<Integer> hamburger = new LinkedList<>(Arrays.asList(1,2,3,1));
        List<Integer> ing = new ArrayList<>();
        for(int i:ingredient){
            ing.add(i);
        }
        int startIndex = 0;
        while(startIndex != -1) {
            startIndex = Collections.indexOfSubList(ing,hamburger);
            if(startIndex != -1) {
                ing.subList(startIndex, startIndex + hamburger.size()).clear();
                answer ++;
            }
        }
        return answer;
    }
}
  • Collections.indexOfSubList의 시간복잡도를 생각 안했다.
    • 모든 시작위치에서 hamburger 패턴 [1,2,3,1]과 일치하는지 검사 O(n × 패턴 리스트 길이)
    • 이후에 clear()로 리스트를 밀며 불필요한 시간초과 발생
    • 그걸 while문으로 또 반복 -> O(n2)까지 가능

수정한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List<Integer> stack = new ArrayList<>();
        for (int i : ingredient) {
            stack.add(i);
            int size = stack.size();
            if (size >= 4) {
                if (stack.get(size - 4) == 1 &&
                    stack.get(size - 3) == 2 &&
                    stack.get(size - 2) == 3 &&
                    stack.get(size - 1) == 1) {
                    for (int j = 0; j < 4; j++) {
                        stack.remove(stack.size() - 1);
                    }
                    answer++;
                }
            }
        }
        return answer;
    }
}
  • 튜터님이 컬렉션 메소드 사용하지 말고 뒤에서 4개씩 찾아볼것 같다고 힌트를 주셔서 ArrayList를 스택처럼 뒤에서 부터 마지막 4개만 검사해서 통과
  • 마지막부분만 확인하고 필요하면 삭제해 시간 복잡도는 총 전체 반복 한번인 O(n)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대충 만든 자판  (0) 2025.11.09
[Java] 프로그래머스 둘만의 암호  (0) 2025.11.02
[Java] 프로그래머스 숫자 짝꿍  (0) 2025.11.01
[Java] 덧칠하기  (0) 2025.10.19
[Java] 배열 만들기 4  (0) 20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