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데이터 모델링이란?
-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이다.
- 현실 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이다.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이다.
-> 모델링 자체가 업무 설명의 연장선이다.
데이터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간략히 표현
- 단순화 - 복잡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표현
- 명확성 - 명확한 의미 해석, 한 가지 의미
좋은 데이터 모델링 요소
- 완전성
- 중복 배제
- 업무 규칙(business rule)
- 데이터 재 사용
- 의사소통
모델링시 유의점
- 데이터 중복 X - 여러 곳에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면 안됨
- 비 유연성 - 데이터가 업무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기 대문에 유연해야 한다.
- 비 일관성 - 데이터는 항상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데이터 모델링 관점
관점(View) | 설명 |
데이터 (What) | -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 구조 분석, 정적 분석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있는지,데이터간의 관계는 무엇인지 |
프로세스 (How) | -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수행하는 작업 - 시나리오 분석, 도메인 분석, 동적 분석 -업무가 실제 하고있는 일은 무엇인지, 무엇을 해야하는지 분석 |
데이터와 프로세스 | - 프로세스와 데이터 간의 관계 - CRUD 분석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있는지 |
데이터 모델링의 3요소
- 업무가 관여하는 어떠한 것(THINGS)
- 어떠한 것이 가지는 성격(ATTRIBUTES)
-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의 관계(RELATIONSHIPS)
- 엔티티, 속성, 관계를 나타낸다.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ERD
ERD 작성의 절차 1-6
엔티티 도출하고 그림 👉🏻 엔티티 배치 👉🏻 엔티티 관계 설정 👉🏻 관계명 서술 👉🏻 관계 참여도 👉🏻 관계의 필수 여부
3층 스키마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ANSI 표준
- 3층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3층 스키마의 장점
- 데이터 복잡도 감소
- 데이터 중복 제거
- 사용자 요구 사항 변경에 따른 대응력 향상
-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 절감 등
3층 스키마의 독립성
독립성 | 설명 |
논리적 독립성 |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 |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개념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 |
3층 스키마의 구조
구조 | 설명 |
외부 스키마 | - 사용자 관점 -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뷰(View) 표시 -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 정의 |
개념 스키마 | - 설계자,통계자, 조직 전체적인 관점 - 전체 데이터베이스 내의 규칙과 구조 표현 -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조 |
내부 스키마 | - 개발자 관점 - 물리적 저장 구조(실제 데이터 위치) |
728x90
반응형
'SQL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SQL 활용 - JOIN (0) | 2023.03.17 |
---|---|
[SQLD] SQL기본 (0) | 2023.03.17 |
[SQLD]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4 (0) | 2023.03.17 |
[SQLD]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3 (0) | 2023.03.17 |
[SQLD]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2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