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개발 중 DB에 더미데이터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고, 내가 익숙하게 사용하던 도구는 MySQL WorkBench뿐이었다.그래서 우선 로컬 DB에서 더미데이터를 만들고,이후 팀원들과 동일한 환경을 공유하기 위해 Docker 기반 MySQL로 전환하였다.1. properties 파일 ddl-auto 수정Spring Boot의 JPA 설정에서ddl-auto 기본값은 create로 되어 있었는데, 이 옵션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마다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다.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하지만 나는 직접 작성한 SQL 파일(CREATE, INSERT)을 통해더미데이터를 계속 유지하고 싶었기 때문에 DDL 자동 생성 기능을 끄기로 결정했다.spring.jpa.hib..